Typora 문법

Typora Edior 사용기

최근 2년간 블로그를 써야지 써야지 생각만 하고 대충 원노트에 텍스트로 정리하고 안올리고 있었는데, typora를 알게된 이후에 뭔가 계속 typora에디터를 사용해서 계속 정리 하고싶은 마음이 든다 ㅎㅎㅎ

1. Title 만들기

 

"#" 을 붙일수록 크기가 작은 타이틀을 만들수 있다.

Title #title

Title ##title


 

2. 리스트 만들기

 

순서가 없는 경우 "*" 을 쓰고 탭을 누르게 되면 소제목?을 만들수 있다.

  • 사과
  • 딸기
  • 바나나

리스트에서 Enter를 누르면 계속 리스트 기호가 생기는데 Enter를 한 번 더 누르면 빠져나올수 있다.

숫자. 만 붙여도 순서가 있는 목록을 만들 수 있다.

3. 줄긋기

"***" 만 쓰고 Enter를 입력 하면 아래와 같은 줄을 만들 수 있다.


위의 줄은 예제

기호( - )세 번 써도 도 가능 하다.

 

 


4. 상자만들기

다음은 ```를 쓰게 되면 언어에 맞춰서 텍스트를 사용할수 있는 박스를 만들수 있다.

 
 
 

 

팁 : Mac sierra에서 (`) 를 쓰려고한다면 글자를 영어키에서 ₩ 를 사용하면된다 .

 


5. 강조하기

 

문장에서 특정단어를 강조 하고 싶을 때

  • 기울여쓰기

    단어와 글 사이에 *를 써주면 됨.

    문자를 etalic

  • 강조하는 기능

    단어 앞과 끝에 **를 두번 써주면 된다.

    ​ 나는 Typora 를 강조하고있습니다.

     

     


 

6. 이미지 삽입하기

 

이미지

![이미지이름]+()를 쓰게 되면

 

이미지 삽입을 하게되면

다음과 그림과 같은 형식이 나오는데 폴더를 누르게 되면 자신의 컴퓨터에서 사진을 올리는 것이고

url도 가능 하다.

 

 


7. 그래프

 

yes
no
Node1
Node2
Node3
Yes or No?
Yes
No

 

(```) + mermaid 를 쓰게 되면

 

위의 그림처럼 나타낼수 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k git 관리 툴  (0) 2020.03.08
SPARK_ENV(1)

SPARK 공부하기 (1) 환경구축

 

Spark 설치 하기

 

 

1. Scala 프로젝트 gradle 이클립스에 설치하기

 

eclipse 사전 설치 해야 할 플러그인

 

File -> new -> Other ->Gradle

 


 

위의 화면 대로 next 를 누르다가 ProjectName을 적어주고 다음 다음 누르고 Finish를 누르면 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가 생성이 된다.

 

 

 

build.gradle 파일을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초기 코드가 나온다

 

 

기존의 코드가 무엇인지 궁금하여 찾아봤는데,

  • repositories -> jcenter
 

jcenter 란

jcenter는 공개 소스 라이브러리 게시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bintray에서 호스팅되는 공개 저장소입니다. Maven Central에서 jcenter를 사용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기능 중 일부입니다.

  1. jcenter는 CI 및 개발자 빌드의 개선을 의미하는 CDN을 통해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2. jcenter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Java 저장소입니다. 즉, Maven Central에서 사용할 수있는 것은 jcenter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bintray에 자신의 라이브러리를 업로드하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 Maven Central에서 서명하거나 복잡한 작업을 수행 할 필요가 없습니다.
  4. 친숙한 UI 라이브러리를 Maven Central에 업로드하려는 경우 bintray 사이트를 한 번의 클릭으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code.i-harness.com/ko/q/17f906f

  • apply plugin : ' PluginName '

    : ''PluginName" 을 Gradle 플래그인으로 적용

  • dependencies : 의존성 관리로 사용될 외부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성을 설정 하는 부분

    의존성을 jcenter에서 받아온다면 repository 에 jcenter를 추가 해주고, maven repository에서 의존성을 받아온다면 mavenCntral()를 추가 해주면된다.

 

 

저는 jcenter 보다 maven Repository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maven repository를 추가 하였습니다.

 

 

이후에는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를 누르면 업데이트한 build.gradle 을 Refresh 해준다.

그럼 거의 세팅은 끝났고 이제 코드를 작성 해야하는데, 프로젝트 root 폴더에서 src/main/scala 디렉토리를 만들어준다.

그리고 Main.scala 라는 파일을 생성 한다.

 

Main.scala

 

생성한 뒤 시작을 하게 되면

 

 

print문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사이트 :

http://techs.studyhorror.com/gradle-scala-eclipse-project-i-181

https://medium.com/@goinhacker/%EC%9A%B4%EC%98%81-%EC%9E%90%EB%8F%99%ED%99%94-1-%EB%B9%8C%EB%93%9C-%EC%9E%90%EB%8F%99%ED%99%94-by-gradle-7630c0993d09


React Native 는 Flex Box를 사용하여 화면의 위치나 비율을 조정하게 되는데 

아래의 예제는 container가 전체 flexbox 1로 설정 되어있고 그 안에 redView와 yellowView에도 flexbox 가 1로 지정 되어있다.

그러면 container의 1 에서 0.5:0.5 로 비율이 유동적으로 설정된다. 기본값은 세로로 되어있지만 가로로도 바꿀수있다.

추후에 flex box에 대해서만 따로 정리하여 올리겠습니다.



'Front-End > react-na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Native(1)  (0) 2018.02.20

+ Recent posts